본문 바로가기
● 프로그래밍 언어/★ 언어 설명

[최소 기준잡기]객체란?

by user... 2020. 7. 21.

객체란?
객체란 무엇인가?

객체의 개념

객체에 대한 이해

사람

1. 이름

2. 나이

3. 성별

4. 사는 곳

등..

위의 4가지와 같은 속성(Property)이 있다.

사람이 아닌 다른 물체로서 찾아보자면, 은행계좌가 있겠다.
은행 계좌도 하나의 객체로서
1. 계좌의 주인(소유자)
2. 계좌번호
3. 잔액

같은 속성이 있다.

 

숫자로 나타내는 게 편하기 때문에, 은행계좌를 코드로 나타내 보겠다(Java Script를 이용)

아래의 코드를 모두 이해하면 좋겠지만, 하나하나 모르더라도 괜찮다. 일단 객체의 이미지화를 느끼면 되기에


var account = {

 owner = "철수", //은행계좌의 프로퍼티(속성)

 balance = 10000, //은행계좌의 프로퍼티(속성)

 deposit = function(){...} // 은행계좌의 메서드(함수)

 withdraw = function(){...} // 은행계좌의 메서드(함수)

};


이뿐이겠는가? 자동차를 보자.

1. 제조사

2. 배기량

3. 최대속도

4. 색상

5. 기타 등..


이 처럼 실세계에 존재하는 객체는 하나의 값으로 표현할 수 없고 여러 개의 속성과 값의 묶음으로 표현된다.

 

Ref)
초보단계에서는 객체의 종류가 있다는 것을 적어서 외우는 것이 아니라 일단, 이러한 종류가 있다는 것을 파악하고, 객체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컴퓨터 학자 될 것이 아닌 이상 일단 객체를 코딩으로 어떻게 생성 및 관리를 하는지를 유심히 보면 된다.

 

단적인 예로 js의 객체에는 코어 객체, HTMl DOM 객체, BOM 객체가 있다고 한다. 하지만 처음에 이렇게 써서 외우는 것보다 일단 이 객체를 어떻게 이용하고, 어떻게 코드로 생성을 하는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분류 작업은 나중에 저절로 익혀지게 될 것이다. 또한 개념을 글로 외우는 것보다 이미지화를 시켜서 머리에 저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든 언어를 통틀어 객체라는 개념은 등장한다. 그때마다 따로 정리하는 것보다, 관통하는 하나의 개념을 머리로 이미지화시켜놓으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Plus)

이 글은 많은 프로그래밍들 정보 속에서 최소한의 기준을 잡아주는 개념으로 간단하게 읽어나가고 이미지화시켜놓고 나머지의 레벨을 찾아 스스로 업을 해나가는 용도로 기준을 잡는 용도로만 적합하다. 나머지의 심화 과정은 스스로 학습하는 과정을 가졌으면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