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이 글을 읽으면 좋을까?
많은 사람들이 코딩테스트를 준비한다. 대게 준비하는 사람들 중에는 어렸을 때 부터 공부를 해와서 잘해왔거나, 공부를 한 시간이 길었기 때문에 잘 준비를 해왔을 거라라 생각한다. 지금 이 글은 막상 언어의 기초적인 지식을 다 해놓고 이제 막 알고리즘으로 넘어갈려는 사람들이 읽으면 좋을거라 생각한다.
이 역시 답을 바로 던져주기보다, 바로 생각 할 수 있도록 사례를 던지고 풀어가고자 한다.
2020/06/29 - [● 백준/그리디(Greddy)] - [개념] 그리디(Greedy) 알고리즘이란?
[개념] 그리디(Greedy) 알고리즘이란?
그리디(Greedy) 알고리즘이란? 1) 그리디(Greedy) 알고리즘 개념 탐욕적 접근(한 가지만 보고 좇는다.) ㄴ무조건 작은거, 무조건 큰거, 무조건 긴거, 무조건 짧은거 먼저 2) 대표예시 ㄴ 거스
developyourtech.tistory.com
효율적인 알고리즘 공부법
코드를 보기 전에 팬을 들어야 한다. 우선 팬을 들고 어떻게 접근하는지를 이해를 해야 코드를 보고 아 이래서 이랬구나 라는게 이해가 갈 것이다. 하지만 예전에 나는 코드를 그냥 아무생각없이 외웠었던 경험이 있다. 그렇게 외운 지식이 도움이 되긴했지만, 들인 시간과 장기기억이라는 관점에서는 좋지 않은 방법이였다. 그래서 나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1. 팬을 잡고 수학 문제를 풀듯이 해결해봐라
2. 그렇게 해결해봤으면, 코드로 짜봐라
3. 그렇게 해서 맞았으면 잘 한거다
3-1 그렇게 해서 못맞았다? 1번과 2번을 왔다갔다(반복) 하면서 이해하려고 해라.
이제 위의 링크를 통한, 방법을 보여주고자 한다.
총 받은 금액을 금액이 큰 동전인 500원으로 나눠본다.
그 중 나머지로 그 다음 킁 돈전인 100원으로 나눠 본다.
...
...
...
최소 금액 동전으로 나눠본다.
몫이 갯수의 총합이다.
이런 방식으로 직접 해보면 나머지 문제들은 술술 풀리거라 생각한다. 효율적인 알고리즘 학습법을 위해 계속해서 공부해나가자
'● 프로그래밍 언어 > ★ 언어 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소 기준잡기]객체란? (0) | 2020.07.21 |
---|---|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로직 (0) | 2020.06.24 |
프로그래밍 언어를 공부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 (0) | 2020.06.24 |
댓글